[2209528] 건설기술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(염태영의원 등 11인)입법예고중

발의자
염태영 외 10명
헤드라인
"공사 안전강화, 규제 과잉 논란 일어"
경고
경고: 이 법안은 안전점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처벌 및 행정처분 규정을 강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, 실제로는 공공공사의 경우 발주청이 안전점검 기관을 지정하는 과정에서 부패나 이권 개입의 여지를 남길 수 있습니다. 발주청의 권한이 강화되는 부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요약
공사 안전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기관을 지정하고, 위반 시 처벌 및 행정처분을 명확히 합니다.
원문
제안이유 및 주요내용
현행법령은 공사 중 시공자의 업무로 정기안전점검 등의 실시를 명시하고 있으나 점검을 수행할 기관에 관하여는 따로 정함이 없이 타법에 따라 등록된 기관이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부실한 점검이 이뤄지더라도 현행법령에 따라 처벌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한 상황임.또한, 현행법령은 공공공사의 경우에도 정기안전점검을 수행할 기관을 발주청이 지정하여 시공자에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시공자 주도로 점검이 진행되는 등 공공의 관리가 부족한 상황임. 이에 건설엔지니어링 전문분야에 안전점검 분야를 신설하고, 안전점검 및 품질검사 건설엔지니어링사업자가 의무를 위반할 경우의 처벌 및 영업정지, 과태료 등 행정처분 규정을 위반행위에 따라 정비하는 한편, 공공공사의 경우 발주청이 안전점검을 수행할 기관을 선정하여 계약한 후 시공자에 통보하고, 중요한 공정의 안전점검은 공공이 참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건설공사 부실시공 예방에 기여하려는 것임(안 제31조제2항제8호, 제37조제3항, 제39조제6항제4호, 제62조제5항ㆍ제6항, 제89조제5호의2ㆍ제5호의4, 제91조제3항제15호 신설 및 제62조제4항, 제91조제2항제3호ㆍ제3호의2ㆍ제3호의3, 제91조제3항제12호의2ㆍ제14호ㆍ제16호 개정).
원문 확인하기
본회의 결과
결과가 나오면 알려드립니다. 스크랩 후 확인하세요.

댓글

아직 댓글이 없습니다.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