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209541]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(이종배의원 등 11인)입법예고중

발의자
이종배 외 10명
헤드라인
"의장 복귀 제한, 정치적 자유 침해 우려"
경고
경고: - 의장의 임기 만료 후에도 소속 정당으로 복귀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의장의 정치적 권리를 과도하게 제한할 수 있으며, 정치적 활동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음.

- 의장의 중립성을 보장하려는 목적이지만, 해당 규정이 실제로 중립성을 강화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며, 오히려 의장의 정치적 고립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.

- 정당 복귀 금지로 인해 의장이 정치적 연대나 협력을 통해 국회 운영에 기여할 가능성을 줄이며, 특정 정당에 대한 불공정한 처우로 인식될 수 있음.

- 의장의 당적 제한이 의회 내 권력 균형을 지나치게 변화시켜, 다른 정치적 갈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.
요약
국회의장은 임기 종료 후에도 소속 정당으로 복귀할 수 없도록 하여 국회 운영의 중립성을 강화합니다.
원문
제안이유 및 주요내용현행법상 의원이 의장으로 당선된 때에는 국회 운영의 중립성 확보를 위해 당선된 다음 날부터 의장으로 재직하는 동안은 당적을 가질 수 없도록 하고, 의장의 임기가 만료된 때 소속 정당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.그런데 의장의 임기 만료 후 이전 소속 정당 복귀 규정으로 인하여, 재직 중 공정한 의사 진행 및 결정을 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현행법으로는 의장의 정치 중립성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됨.국회입법조사처에서도 2002년 의장의 당적 이탈 의무가 명문화되어 중립적인 의장모델이 채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, 의장의 편파적 의사진행에 대해 의장을 대상으로 한 사퇴권고결의안이 제출되거나 권한쟁의심판이 청구되는 등 국회의장의 중립적 역할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강조한 바 있음.또한, 국회의장이 예산안, 후보자 임명동의안 등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안건들을 일방적으로 본회의에 상정하고 표결을 진행하는 사례가 이어져 의장의 당파적 의사결정이 정당 간 갈등을 조장하고 국회법 및 헌법으로 보장된 의회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한다는 우려도 제기됨. 이에 의장의 임기가 만료된 후에도 남은 국회의원으로서의 임기 동안 소속 정당으로 복귀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국회 운영의 중립성을 제고하고자 함(안 제20조의2제1항).
원문 확인하기
본회의 결과
결과가 나오면 알려드립니다. 스크랩 후 확인하세요.

댓글

아직 댓글이 없습니다.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!